신화가 되어버린 시인 기형도, 詩길 밟기
제1기 광명시 온라인 시민필진
곧미녀(김경애)
Blog. http://blog.naver.com/hvhklove
미녀의 정원
사실 나는 기형도 시인을 잘 알지 못한다. 그의 시를 접해 본 적도 별로 없고, 그의 일생을 들어 본 적도 없으니... 하지만, 알고 싶다. 그의 시와 그가 남긴 추억과 슬픔들을...
그를 추억하는 이들과 그의 길을 걸어보고 싶은 마음에 참가 신청을 했다.
곧미녀가 시인을 만나러 가겠노라고...
10월 20일 목요일.
기형도 시인을 만나기 전, 나에게는 준비가 필요하다. 그의 길에서 그와 마주했을 때, 당황하지 않을 그런 준비.
조금이라도 그를 알아야 했다. 그것이 시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는 생각을 했다.
기형도 전집과 시를 읽고 싶다는 생각에 가까운 서점으로 향했지만, 판매원은 예약을 해야만 구입할 수 있다고 한다.
기형도 시인학교에 회원인 지인에게 전화를 해 보고, 그의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는 광명중앙도서관으로 향한다.
버스 창가에 있던 시인의 얼굴.
순간 나는 행복했다.
나도 모르게 카메라를 꺼내고, 그의 얼굴을 담아본다. 그의 시를 담아본다.
내 입속에선 어느새 버스창에 있던, 그의 시가 노랫말처럼 흐르고 있었다.
시인과 첫 만남의 설렘을 버스에 실어 보내고, 나는 광명 중앙도서관 3층에 있다는 기형도 시인 전시실로 향했다.
그러나, 도서관 특성상 사진 촬영이 안된다는 말.
시민필진(명함을 내밀고)이라는 둥, 포스팅 준비라는 둥, 내일 있을 詩길 밟기 행사 이야기 까지 늘어 놓아야 했다.
벽에 걸린 그의 시가 눈에 들어온다.
<빈집> 그가 마주했던 빈집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책 읽는 이들이 내뱉는 낙엽같이 가벼운 소음 속에 그를 남겨두고 나서는 길.
버스에서 우연히 만났던 시인과, 도서관 한 부분을 차지한 채 나를 반기던 시인의 모습이 다르지 않음을 느끼며 계단을 내려오는 내 손에는 기형도 시인 전집이 들려있었다. 나는 아직도 그를 만나지 못한 걸까?
도서관 앞 벤치에서 그의 삶을 펼쳐본다.
기형도 연보
드디어 10월 21일(금) 오전 10시가 되었다.
기형도 시인에 대한 내 얕은 지식을 숨긴 채 그를 추억하는 이들과 마주했다.
여기 모인 모두의 마음을 닮은 포근한 바람이 10월 하늘을 가로지르며 얼굴에 스치고...
순간, 햇살 부시다.
오늘 우리가 걸어갈 詩길은 "안개 너머 피안길"
388종점(기형도 전집에 수록)에서 성채산(메모리얼파크 옆) 까지이다.
시인의 길 위에서 식당을 하고 있다는 신영수씨는 멀리서 한무리의 사람들을 보고 시인을 만나러 온 사람들임을 알아봤다고 했다.
아무래도 오늘 점심 밥상엔 시인의 친구가 담아낸 넉넉한 인심이 한 상 차려질 모양이다.
시인의 친구와 마주하고, 시인의 추억과 만나고 있는 지금.
그 추억 속 시인은 어디에 있을까?
시인의 부친이 연평도 출신이었고, 부친의 사업 실패 후 지인의 도움으로 시흥군 소하리(소하동)으로 왔으며, 부친 사망후 토지 주인의 자손들이 땅을 매각했다는 설명들을 들으며 일행은 시인의 길을 걸었다.
기형도 詩길 만들기에도 힘쓰고 있다는 기형도 기념사업회에서는 더 많은 이들이 시인의 시를 사랑하고 기억해 주길 바라고 있었다. 나 또한 그날이 오기를 간절히 기다려 본다.
기형도 기념사업회는 광명 출신 시인 기형도를 사랑하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
<입 속의 검은 잎>이라는 시집 하나로 1990년대 한국문단에 돌풍을 일으킨 기형도가 광명 사람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5살때부터 광명 소하동에 살기 시작해 서른이라는 나이로 요절하기까지 생의 대부분을 보낸 광명시. 그의 시 대부분이 그가 살았던 소하동과 주변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1989년 요절한 천재 시인 기형도의 옛 집터가 광명시 소하동에 남아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들이 자연스럽게 시인 기형도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기형도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만들어 졌다.
<입 속의 검은 잎>이라는 시집 하나로 1990년대 한국문단에 돌풍을 일으킨 기형도가 광명 사람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5살때부터 광명 소하동에 살기 시작해 서른이라는 나이로 요절하기까지 생의 대부분을 보낸 광명시. 그의 시 대부분이 그가 살았던 소하동과 주변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1989년 요절한 천재 시인 기형도의 옛 집터가 광명시 소하동에 남아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들이 자연스럽게 시인 기형도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기형도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만들어 졌다.
언젠가 기형도 시인의 詩길이 만들어 진다면 그 길은 "안개 너머 피안길"이라는 또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시인이 거닐었을 뚝방길 위에서 우리는 시인이 없는 10월과 마주한다.
그의 시(위험한 가계.1969)속의 상장 종이배가 떠내려 갔을지도 모를 안양천에서 오늘의 일정을 마무리 하기로 한다.
시인의 길 위에서 우리는 시인이 남기고 간 세월과 마주하게 되었다.
무어라 형용할 수 없는 반가움에 모두들 고향 어머니를 만난 듯한 기쁨을 느꼈다.
대보름날 온 동네를 환하게 밝히던 쥐불처럼....
시인의 길 위 시인을 사랑하는 이들의 가슴에 커다란 달이 떠오르고 있었다.
내 가슴속을 맴돌고 있는 시인의 詩 하나.
그의 노모를 위해 부르지 말자는 의견이 나왔을 정도로 가슴아픈 노래가 되어버린 詩.
처음 들었지만, 온종일 아니 포스팅을 하는 지금까지도 가슴속에 아련히 남아있는 노래.
시인의 <엄마 걱정>이 울리는 동안 노모의 눈은 또다시 꼭 감기고, 누이의 눈가엔 눈물이 맺혔다.
기형도 시인을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한 시간.
시인의 노모의 얼굴이, 누이의 미소가 그리고 그의 시들이 가을 하늘 잠자리처럼 머릿속에서 맴을 돈다.
너무 어려운 포스팅이 될 거라는 예감이 적중했다.
처음 기형도 시인을 만나러 12번 버스에 올랐을 때부터, 그의 전집을 읽고, 시를 읽고, 인터넷을 검색하며 오늘 포스팅을 마무리 하는 순간까지 나는 아직도 처음 느꼈던 설렘을 느끼고 있다.
광명에서 기형도 시인을 만나고 싶다면
1. 하안 도서관과 중앙 도서관 3층 기형도 시인 코너가 있다.(하안도서관: 02-2680-2871.중앙도서관:2680-6523)
2. 기형도 기념사업회(회장,최평자 http://cafe.daum.net/khdgm). 하안 문화의 집(http://www.ha-an.com)에서도 기형도 시인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1. 하안 도서관과 중앙 도서관 3층 기형도 시인 코너가 있다.(하안도서관: 02-2680-2871.중앙도서관:2680-6523)
2. 기형도 기념사업회(회장,최평자 http://cafe.daum.net/khdgm). 하안 문화의 집(http://www.ha-an.com)에서도 기형도 시인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사랑 소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위한 선물, 제11회 우리느낌전에 가다 (13) | 2011.11.15 |
---|---|
기형도, 그의 시길을 걸으며... - 가을다움 (20) | 2011.11.07 |
시민필진들의 명함공동프로젝트 - 우리 명함 만들었어요~ (35) | 2011.11.03 |
쉼표로 마음을 채우다 - 오치 윤여빈 한국화전을 찾아서 (15) | 2011.10.26 |
시 개청 30주년 기념 시민어울림 프로젝트 - 드림 릴레이 콘서트 (16) | 2011.10.12 |